마라톤 무릎부상(장경인대건염) 5개월 증상과 운동량

마라톤 finish line에 있다 보면, 눈에 보이는 그 곳을 한번에 가지 못하고, 잠깐 쉬어가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처럼 사후 대처를 미련하게 하다 5개월이 지난 지금도 제대로 달리지 못하는 상황이 아니었으면 하네요. 작년 9월 첫 풀코스, 장경인대건염이라는 부상을 당했고, 마라톤 선배님들께서 "무조건 2~3개월은 쉬어라" 의사 선생님도, 한의사 선생님도 "뛰면 안되요!!" '그래도 괜찮겠지, 괜찮아 지겠지!!' 가볍게 생각하고 뛰었는데,, 이렇게 오래 고생할 줄은 생각도 못했네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장경인대건염 외 마라톤 부상이면, 당분간 필라테스가 되었던, 헬스가 되었던 다른 운동으로 대체하고, 절대!! 뛰지 마세요. 괜찮아 질 때 뛰어 또 통증을 만들고, 그렇게 뛰다 다시 다치는 걸 반복하다 보니, 어느덧 5개월이 지났습니다. 부상이 없어진 것도 아니고, 달리기 실력이 유지된 것도 아니고(숨도 차고,, 페이스도 많이 떨어지고) 몸도, 달리기도, 시간은 시간대로,,, 부상이면, 완치 될 때까지 꼭!! 참으셨으면 합니다. I. 마라톤 당일 증상 하프 이후, 5분 초반 페이스가 후반대로 밀리기 시작했습니다. 28km 지점에서 오른쪽 무릎이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32km부터 오른쪽 무릎 통증이 심해져, 걷뛰를 반복했습니다. 34km 지점에서 수거 차량에 탈까 심각하게 고민하다, '첫 풀코스를 포기하면,, 다시 도전할 수 있을까?' 두려운 마음에, 아픈 오른발은 최대한 굽히지 않고, 절룩거리며 들어온 시간이 4시간 47분 끝난 후, 걷는 건 괜찮았는데, 4시간 차 타고 집에 도착해 내리려 하니, 무릎 통증이 심해 걷는 것도 부자연스러웠습니다. II. 다치고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