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24의 게시물 표시

퇴직 후 멘탈 관리 어떻게 하시나요?

이미지
퇴직 후 흔들린 멘탈, 달리기가 버팀목이 되다 달리기로 버틴 퇴직 후의 시간 I. 자주 보이던 얼굴이 보이지 않을 때 마라톤 동호회에서 늘 보이던 분들이 어느 날 갑자기 한동안 보이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젊은 친구들이야 사정이 있겠거니 하지만, 40대, 50대 남성 분들이 안 보이기 시작하면 대부분 경제적인 변화 가 찾아온 경우가 많습니다. 저 역시 그랬습니다. 마음이 쉽게 버텨지지 않았고, 멘탈이 무너지는 순간 이 찾아왔죠. 하지만 그 힘겨운 시기에, 달리기가 저를 잡아주었습니다. II. 낭만이 있던 청춘, 그때의 우리 20대 후반, ‘ 서른 즈음에 ’ 를 들으며 감성에 젖어들곤 했습니다.  졸업 후 취직이 가장 큰 고민이기도 하지만, 한 번쯤 겪었을 시련에 가사가 팍팍 꽂히는 그 추억의 노래 우리 청춘은 먹고사는 일 말고도, 아련한 시련에 눈시울을 적시는 낭만이 있었습니다 III. 일터에서 멀어지는 순간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낸 그 일터. 때로는 가정이 먼저냐, 일이 먼저냐 를 두고 다툴 만큼, 삶의 대부분을 쏟아부었던 곳. 그곳이 더 이상 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걸 깨닫는 나이, 바로 40대 중반에서 50대입니다. 이제는 먹고사는 일로 마른 눈물을 삼키며, 감정 대신 책임으로 버티는 나이가 된 것이죠. IV. 떠밀려 시작한 1인 사업 소심한 A형으로, 개인사업은 꿈에도 생각하지 않았고, 월급 사장이 제 인생 최대 목표였기에, 일 말고는 관심 밖 이였습니다.  한번은 유럽 출장 중 뇌수막염에 걸려 10일 동안 입원한 적이 있는데, 병문안 오신 팀장님께,, "팀장님 처리할 일을 못해서 어떻하죠? 죄송해요"   제 정신이 아닌 거죠. 어머니도, 와이프도 이러다 못 일어 날까봐,, 그렇게 걱정 했는데,,  그렇게 회사가 전부인 것처럼 생각했던 제가, 개인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V. 체력과 멘탈이 함께 무너질 때 퇴직 ...

“마라톤 첫 풀코스, 별거 아니겠지!!" 이런 분들은 꼭 보세요

이미지
  혼자 뛰다 멈추기를 반복하던 시절, 마라톤 대회에 나간 적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마라톤 동호회에 가입한 지 4개월, 첫 32km 대회와 이어진 하프 마라톤에서 모두  부상 없이 완주 했습니다. 그때 들었던 생각은 이랬습니다. "풀코스도 크게 다를 게 없겠지."   I. 쭉쭉 올라가는 자신감 1. 꾸준한 훈련 주 2회 정모는 빠지지 않았고, 정모가 없는 날엔 집 근처 비봉산을 뛰어올랐습니다. 산 정상까지 2.7km. 정상에서 숨을 몰아쉬며 떨어지는 땀방울을 보며 느꼈죠. “산도 뛰는 사람이 되었구나.” 무더운 여름에도 쉬지 않고 달렸던 건, 그해가 처음이었습니다.   2. 마라톤 풀코스 신청과 목표 32km에서 42km라면 10km만 더 뛰면 된다는 단순한 생각으로, 9월 22일  공주부여 마라톤 풀코스 를 신청했습니다. “이번 여름 열심히 뛰어서 3시간 40분 안에 들어와야지.”   II. 될까? 1. 처음 겪은 호흡 곤란 “오늘은 20km 달려볼까?” 약한 비가 내려 뛰기 괜찮겠다 싶었는데, 그날은 이상하게 초반부터 너무 편했습니다. 5분30초 페이스로 달리며 ‘산 훈련이 효과가 있나?’ 싶었지만, 5km 이후부터 갑자기 숨이 차기 시작했습니다. 속도를 늦춰도 답답함이 사라지지 않았고, 결국 9km 지점에서 멈췄습니다. 숨쉬기가 너무 힘들어 택시를 탈까 고민하다 젖은 운동복 탓에 결국  공공자전거로 집에 돌아왔습니다. 크게 무리한 것도 아닌데, 그때부터 달리기가 약간  두려워지기 시작 했습니다.   2. 위험했던 순간 한 번은 달리다 몸 상태가 급격히 나빠져  3일 동안 고생 하기도 했습니다. ‘달리기가 이렇게 위험할 수도 있구나’ 싶었습니다.   3. 다시 찾은 자신감 두 번의 고생 후엔 자신감이 사라졌습니다. ‘3시간 40분은커녕 완주할 수 있을까?’ 그런데 더위가 물러나면서 호흡 곤란도 사라지고, 몸이 점점 회복되었습니다. 특히 대회 전 마지막 ...

달리다, 몸이 위험 신호를 보냈을 때, 참고 끝까지… 큰일 납니다

이미지
최근 몇 몇 마라톤 대회에서 다수의 이송과 사망 소식까지 있었습니다. 예전에 겪었던 경험이 있기에, 남의 일 같지 않았습니다.  그날의 저도 그럴 뻔 했던 거 같습니다.  I. 무리하지 않았던 페이스와 거리 평소 10km는 무리 없이, 가끔 15–20km를 달렸고 평균 페이스는 600대였습니다. 그날 기온은 약 32℃. 출발 후 4km 지점, 550 안팎으로 뛰는데  몸 상태가 분명히 좋지 않다 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페이스는 계속 떨어졌고 8km에서는 7분 후반, 12km까지 버티다 결국  걷기 시작 했습니다. II. 달리면서 올라온 신호들 한 달 전, 더운 날 뛰다  호흡 곤란 을 겪은 적이 있어 이날은 630 전후로 마무리하자고 마음먹었습니다. 다리 근육엔 특별한 이상이 없었지만, 숨이 계속 가빠지고, 코 안쪽이 붓는 느낌, 느껴 본 적 없는  허리 통증 , 더운데도  콧물 이 살짝 흐르고, 복통 까지 찾아왔습니다. 12km에서 걷기 시작했고, 1km를 걷고 1km를 다시 뛰어보았지만  증상이 그대로 재현 되어 곧바로 다시 걸었습니다. III. 달린 후의 몸 상태 1) 집에 도착하자마자 샤워를 간신히 마치고 찜질기에 누웠습니다. 몸의 시스템이  전반적으로 무너진 느낌 이었어습니다. 귀찮을 정도로  호흡이 힘들고 , 정신이 약간  혼미 하고, 오른쪽  두통 이 지속됐고, 콧물도 조금 났습니다. 2) 다음날 호흡과 콧물은 좋아졌지만,  왼쪽 허리 통증 이 다시 느껴졌고  두통 은 하루 종일 남아 있었습니다. IV. 포기가 아니라, 멈출 줄 아는 자제력 4km에서 ‘오늘 15km 가능할까?’라는 의심이 들었고, 5km 지점에서 ‘그냥 턴할까?’를 고민했습니다. 하지만 마음속엔 “ 속도를 낮추더라도 15km는 끝내자 ”는 욕심이 있었죠. 뒤돌아보면 그 욕심 때문에  실려 갈 뻔 했습니다. 특히 더운 날, 아무리 노력해도 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