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즈음에 말고 오십 즈음에
자주 보던 마라톤 동호회 분들이 한동안 보이지 않으실 경우,
젊은 친구들이야 그렇다 치지만, 40대 50대 남자 분들은,,,,,
경제 생활에 변화가 생긴 경우가 많습니다.
저 또한,, 그랬기에,,,
마음이, mental이,, 쉽지 않겠지만,,,,
그래도 그 정신없는 힘겨운 시간에 달리기가 도움이 되네요.
낭만이 있던 청춘
20대 후반 서른을 바라볼 때 많이 들었던 "서른 즈음에"
졸업 후 취직이 가장 큰 고민이기도 하지만, 한 번쯤 겪었을 시련에 가사가 팍팍 꽂히는 그 추억의 노래
그렇게, 우리 청춘은 먹고사는 일 말고도, 아련한 시련에 눈시울을 적시는 낭만이 있었습니다.
그랬던 우리가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낸,
때론 가정이 먼저인지 일이 먼저인지 싸울 정도로 매몰되었던 그 일터가,
더 이상 머물 수 없는 곳임을 알게 되는 40대 중반 혹은 50대
이제는 먹고사는 일로 마른 눈물을 가슴에 묻는 우리입니다.
그렇게 떠밀려 시작한 1인 사업자
소심한 A형으로 개인 사업은 꿈에도 생각하지 않았고, 월급 사장이 제 인생 최대 목표였기에, 일 말고는 관심 밖 이였습니다.
한번은 2주 동안 유럽 7군데 갔다 오면서, 뇌수막염에 걸려 10일 동안 입원한 적이 있는데,
병문안 오신 팀장님께 드린 말씀이,,,,
"팀장님 처리할 일을 못해서 어떻하죠? 죄송해요"
제 정신이 아닌 거죠.
어머니도, 와이프도 이러다 못 일어 날까봐,, 그렇게 걱정 했는데,,
여튼, 그렇게 한번도 생각하지 않았던 개인 사업을 작년 11월부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뭘 해야 하는지???
많은 분들께서 부정도 긍정도 하지 않았지만, 다만 "경기 상황이 좋지 않아서,,,,"는 말씀을 빼먹지 않더군요.
꽤 오랫동안 제가 잘 할 수 있는 거, 부족한 거를 생각했고,
누군가
"9가지 강점을 갖고 일을 추진하다 보면, 부족한 1가지가 9가지의 추진력을 잃게 만들고 그 부족한 1가지의 속도에 맞추어 갈 수 밖에 없다."
여러가지 부족한 게 많지만, 저한테 가장 부족한 게 [체력] 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시작도 하지 않아 어떻게 흘러갈지 감도 없고,
당장 무얼 해야 할지도 모르겠고,
어떤 걸 준비해야 할지 막막한 마음이었지만,
계속 걱정만 하지 말고,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것부터 하자!' 는 생각이었습니다.
그렇게 시작한 매일 10km 달리기 !!
지금은 매일 10km를 달리지 못하지만, 초기 한 두 달 10km를 매일 달렸던 거 같습니다.
아니 10km 이상 더 달린 적이 많네요.
사무실 얻기 전, 기존 직장에서 책상을 빌려 눈치밥을 먹을 때였는데, 마라톤 동호회 고문님께서 그러시더군요.
"한 집에 두 집 살림하면 힘들 수 밖에 없어요"
관계 때문에 상처 받으면 기분 풀릴 때까지 달리고,
'잘 할 수 있을까?' 불안하면 또 달리고,
처음 하는 일이 두려우면 또 달리고,
아무일 없어도 달리고,
한국 남자 퇴직 평균 연령 49세!!
같이 모여 달릴 때, 서로 웃는 얼굴만 보여주지만,
그 힘든 변화의 시기를,,거쳐야 하는 나이!!
전, 달리기로 버티고 있는 거 같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