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우리 아이 교육
우리와 같은 시대를 살아가지만, 가치 기준이 다르고, 완전히 다른 세상을 살아 갈 우리 아이들.
적응하기 위해 고분분투하는 인터넷 상의 쳇 GPT,
이후에는 그 쳇 GPT에 몸이 생기고, 모든 산업에 스며드는 AI 시대에 살아갈 우리 아이들.
200년 전, 산업혁명 초기와 유사한 Ai 혁명 시대에 우리 아이들은 무얼 준비해야 하는지??
I. 더 이상 탄탄한 직업이 아닌 전문직
은행, 증권, 금융계에서는 근속 연수 5년차부터 희망퇴직 문의를 한다고 합니다.
의료계 또한 미국의 경우, Ai 사용 비율이 36%가 넘었습니다.
법조계는, 한국도 중소 규모의 로펌들이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Ai가 도입되면서 10명이 하던 일을 2명이 하게 되면서, 전문직도 지금처럼 안전한 직업이 아닐 수 있다고 합니다.
BMW가 자동차 조립 공장에 Ai 로봇 도입을 계획하면서, White color외 Blue color도 Ai로 인해 일자리는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II. 취업 시 중요시 되는 능력
Ai 활용 기업 중 44%가 감원 계획이 있고, 감원 이후 91%의 기업이 신규 인원을 채용하지만, 이때 중요시 보는 것이, Ai 활용 능력입니다.
그 Ai 활용 능력이라는 게,
단순히 Ai tool을 잘 다루는 능력이 아닌, 자기의 생각과 지능을 Ai와 결합해 높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 여부를 본다고 합니다.
III. Ai와 결합해 높은 능력 발휘!! 어떻게?
1. 창의성, 도전 정신
이 창의성이라는 게 언제나 나오는 말이지만, 도무지 창의성을 어떻게 기르는지 알 수 없습니다.
한 가지 설득력 있는 답변은,
낯선 것들을 경험하고 시도하는 도전 정신이 있는 사람,
그 도전을 통해 축적된 풍부한 경험이, 같은 교육과 같은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과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하고, 같은 걸 보더라도 관점이 다르고, 다른 시도를 하기에, '창의성'이 발현된다고 합니다.
흑인과 동양인이 섞여 있는 어린이 집에서, 동양인 아이이게
"저 친구와 너와 다른 점은 뭐야?"
"젠 매운 걸 못 먹고, 나는 매운 걸 먹을 수 있어"
우리 답변은 당연히 피부색이겠지만,,,,,
이렇듯, 창의적이었던 우리아이들을, 획일적으로 키우는게 지금의 교육인 거 같습니다.
2. 질문력, 빈틈을 발견하는 사람
누구나 똑같은 Ai tool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걸 활용하는 주체는 개인이기에, 그 개인의 질문력과, 행간의 빈틈을 발견하는 사람이, 앞으로 Ai 활용 능력이 높은 사람이 됩니다.
학교에서 선생님이 이야기하는 걸 받아 적고, 객관식 문제를 잘 풀어 좋은 대학에 가기보단,
토론 수업을 통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묻고, 들으면서, 질문력을 키우고 행간의 빈틈을 발견하는 능력을 키우는 게 더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주도권은 우리가 가져가고, Ai tool은 지식을 구조화하는 용도로 활용해야 합니다.
3. 교감력
카톡과, 문자가 더 편한 우리 아이들은 과거 세대보다 교감 능력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성적이 아닌 성격이 좋은 사람, 즉 촘촘한 세대 간 교감이 가능한 인재, Ai와도 관계를 맺는 세대,
Ai Tool의 활성화로 IQ보다는 EQ(감성지수)가 중요시 되는 시대입니다.
4. 판단력과 책임감
Ai에서 결론까지 내어주지만,
최종 실행은 인간이 하기에, 판단력과 그 결과에 책임지는 책임감 있는 아이로 키워야 하는데,
이건, 어떻게 해줘야 아이들이 이 능력을 키울지는 모르겠네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