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취업 현실

 

I. 만 나이 49세 이력서를 올려보면 _50대 취업 현실 

40대 초반, 이력서를 Jobkorea, saramin에 올려보면, 종종 헤드헌터한테 연락이 오곤 했습니다.  

최근 다시 올려보니 연락도 없거니와, 간혹 오는 제안을 수락해도 추가 연락이 오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해 왔던 일로 이직이 쉽지 않은 거 같습니다. 

*가장 잘하고, 앞으로도 잘할 수 있고,
*경력 인정받으면서, 비슷한 연봉을 유지하고,  

*해왔던 일이기에 덜 스트레스 받고, 


40대 초반과 50대 초입, 달라진 건 딱 하나, 나이!! 

받아들여야 할 현실은 "지금 해 왔던 일로 취업하기가 거의 불가능"이라는 현실입니다. 




예전 같이 직장에서 근무했던 지인들도 비슷한 상황이고,  

얼마 전 운 좋게 취업한 분도 월급을 많이 낮추어 갔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II. 중장년 취업 센터장이 말하는 현실 _50대 취업 현실 

1. 평균 퇴직 나이 

[직장인 대부분 정년까지 일하고 퇴직하시는 분은 많지 않고, 한국 평균 49세에 이전에 해 왔던 주 일자리를 잃게 됨] 


일에서 완전히 손을 떼는 연령층은 만 73세.  


연령별로 일을 하고 있는 비율은
* 60~64세에서는 65.3%가 일을 하고 있고, 

* 65~69세 52.2% 

* 70~74세 31.9% 비율로 일을 하고 있음


 

2. 중장년의 현실적 일자리

남자는  

* 건설현장 기능직 

* 장비 운전 

* 차 운전 

* 생산직 경비 


여자는 

* 단순 노무 

* 청소 

* 식당 

* 단순 포장 업무 등의 생산직 


65세가 넘었다면 남자든 여자든 단순 노무일이 대부분입니다.  

취업이 가능한 일자리는 체력 즉 몸 쓰는 일자리 뿐입니다. 


3. 급여 조건 

1) 중소기업 생산직 

몸을 쓰는 일이기에 체력이 중요합니다.

하루 8시간 기준 190만원으로 보면 되고, 생산직의 경우 잔업, 주야 근무가 있으면 급여는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 

괜찮은 중소기업의 경우, 연봉이 3,500~4,00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생산직을 선택할 때 고려할 사항은,  

*중량물을 많이 취급하는지 여부: 단기간은 버틸 수 있지만, 장기간 중량물을 다루면 예전 같지 않은 몸 상태로,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주야 근무: 해 보신 분들을 아시겠지만 잠자는 시간이 바뀌고, 야간에 일 한다는 게, 몸에 상당한 무리를 줍니다. 

*작업 환경: 갖고 있는 게 몸밖에 없기에,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지 여부도 점검하셔야 합니다.  



2) 쿠팡 물류센터

자차를 이용해 배송하는 알바로 일하는 시간대를 조절하고, 배송량도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습니다. 

50~70개 배송하면 4~6만원, 100개 미만까지는 7~10만원 정도입니다. 

자차를 사용하기에 유료비도 감안해서 수익을 생각해야 합니다. 



3) 생활 지원사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 수행 인력으로 노인 돌봄 관련 직무교육 이수만 하면 할 수 있는 일입니다.  

생활지원사 1명당 14~18명의 인원을 관리하며, 

2023년 주 5일 5시간 기준, 월 125만 원의 급여가 지급됩니다. 


50대 여성 분들이 많이 도전하고, 별도의 자격증은 필요 없지만, 

생활지원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합니다.  

우대 조건은 요양보호사, 사회복시자 자격증, 컴퓨터, 운전면허를 소지한 경우 취업에 유리합니다. 


4) 소방안전관리사 3급 

특급부터 3급까지 있고, 건물 혹은 시설 관리직으로 근무하며 건물이 커 질수록 할 일도 많아지고 급여도 높아집니다.  

노후 대비로 많이 준비하는 자격증이고, 일반 시설관리보다 급여조건이 좋습니다. 


특급과 1, 2급은 여러 조건이 있어야 가능하기에, 우선 3급부터 응시해야 합니다. 

하루 8시간 3일 총 24시간 교육 후, 1과목 25문제 2과목 25문제로 총 60분간 시험. 평균 7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시험 종료 후 15분 후면 바로 결과가 나옵니다. 

 

급여는 무경력의 경우 2,600 ~3,200만 원. 경력이 쌓이면 5,0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5) 지게차 운전기사 

50세 이상 남자들이 가장 많이 취득하는 자격증입니다.  

소형 지게차(3톤 이하는 별도 시험 없이 교육)와 일반 지게차로 구분되고,    

취업 시, 건설, 토목 제조, 운송, 물류, 창고 적재 일을 담당하며, 


초보는 200, 베테랑은 350만 원  

자차를 보유해 직접 현장가서 일하는 사람은 600만원 정도라고 합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가 있으면 국비 지원으로 학원에 다닐 수 있습니다. 


아는 지인께서 자격증을 취득했지만, 나이가 많고, 경력도 없다는 이유로, 취업하지 못했습니다.


III. 중장년 취업자가 알아야 하는 사항 _50대 취업 현실

1. 확률이 낮은 Jobkorea, saramin

Jobkorea, saramin 등의 인터넷 활동은 나이로 인해 많은 장벽이 있고, 주변 혹은 평소 알고 지내던 인맥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확률이 높습니다. 

 

퇴직 후 6개월이 넘어가면, 기존 일던 일로 취업하기가 쉽지 않고, 공백이 길면 길수록 선택지가 감소합니다. 


특히, 창업 실패 후 재 취업 도전하는 구직자는, 창업 기간 동안 경력이 인정되지 않아(창업 분야가 재취업 경력과 관련 있으면 제외) 구직이 더 어렵습니다. 

이런 이유로 자영업 하신 분들이 또 다른 창업으로 일자리를 찾게 되는 거 같습니다.  


2. 면접 자세 

면접 시 자신감을 비추는 건 좋지만, 무언가 강요된 느낌은 고집과 오만함으로 비추게 될 수 있으니 지나친 자기주장은 자제해야 합니다. 


유연하게 웃고 얘기할 수 있는 능력 즉, 표정 좋으신 분들이 재취업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3. 자격증 도전 시 주의할 점 

무작정 좋아 보이는 자격증 보다는, 

재취업이 목적이면, 구인이 많은 분야의 자격증에 도전해야 합니다. 



IV. 후회 _50대 취업 현실


1. 회사가 전부인 양  

중장년 취업 센터장의 한마디!!


[단순노무가 싫다면 그전에 미리 준비 했어야 함]


요즘 MZ 세대는 저희보다 똑똑한 거 같습니다.


"회사와 개인을 구분하고, 퇴근 후에는 개인으로 돌아갈 줄 아는 똑똑함" 


출근해 일을 하고, 

퇴근해서는 회사 사람들과 술 마시며 또 회사 이야기를 하고, 

회사에 안 좋은 일이라도 있으면, 몸은 집에 있으나, 마음은 회사에 가 있고, 


회사가 전부인 양, 뭘 준비할 여유가 없었던 우리였던 거 같습니다. 


2. 피라미드  

실력이던, 정치력이던, 운이던, 

차장, 부장부터 진급 누락이 시작되고, 한 두번 진급 누락이 되면, 그제서야 외면했던 현실을 느끼고, 회사 일만 했던 자신을 후회합니다.   


그 때가 40~45세. 


가끔 이런 이야기를 후배한테 할 때가 있는데,,,, 귀담아 듣지 않더군요. 그때의 저처럼. 


'회사 일을 열심히 하면 그냥 정년까지 갈 수 있겠지!!'는 그 회사에 남은 소수 이야기고, 

피라미드 꼭대기에서 밀려날 수도 있다는 마음으로 준비할 걸,, 이라는 후회를 많이 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지나고 후회하지 말자 _ 회사 초기 멤버에 대한 착각

마라톤 첫 풀코스 자신감 충만한 분들은 꼭 보세요!!

지나고 후회하지 말자 _ 이런 회사면 떠날 준비를 미리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