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에서 공정함을 기대했던 나의 후회
20년 직장 생활을 마치고 돌아보면, 후회되는 것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 중 가장 큰 착각은 이것이었습니다.
“회사는 공정할 것이다.”
I. 일하지 않아도 승승장구하는 자들
1. 무능력하게 비춰지는 나
직장 생활 동안 앞뒤 재지 않고 맡은 일을 묵묵히 해냈습니다.
그리고 ‘열심히 하면 윗분들이 알아주겠지’라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습니다.
팀장 회의에서 누군가 “이런 식으로 진행 중입니다”라고 말하면, 그 일을 실제로 한 ‘나’는 사라지고,
그 말을 한 사람이 일을 주도한 것처럼 인식됩니다.
반대로 문제가 생기면,
“OO에게 그렇게 하면 문제 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번엔 OO, 실명으로 등장하고, 본인이 결정한 사항에 대해 책임은 나에게 전가됩니다.
그렇게 나는 잘한 건 없고, 사고만 치는 사람이 되어 있습니다.
심지어 그 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난 그 사실조차 모릅니다.
2. 자괴감
조직은 참 신기합니다.
일하는 사람은 죽도록 일해도 시간이 부족하고,
어떤 사람은 외근 간다며 골프 치고,
사무실 오면 인터넷만 뒤적입니다.
그러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듭니다.
‘난… 뭐지? 이게 맞나?’
3. 몇 번을 이야기해도 변하는 건 없다
동료들은 그 사람이 어떤식으로 회사일을 하는지, 다 알고 있었고,
후임 중에는 맞서 싸운 사람도 있었습니다.
저도 몇 번이고 임원에게 말했지만, 돌아온 말은 이랬습니다.
“너희들은 왜 그렇게 걔를 싫어하냐?”
사실을 말했을 뿐인데,
그 임원 관점에서는 그냥 ‘쓸모없는 이야기’가 됩니다.
결국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우리가 예민한 사람이 됩니다.
II. 지금 생각하면
1. 왜 회사가 공정할 거라 믿었을까?
어릴 적 한 선생이 자기 아들과 싸웠다고, 쉬는 시간에 들어와 작은 아이를 힘으로 짓밟던 일을 본 적 있습니다.
주변 교사들도 그 사실을 알고도 침묵했습니다.
도덕을 가르치는 학교에서조차 공정하지 않았는데…
사조직인 회사가 공정하리라 믿은 저는 얼마나 순진했던 걸까요?
2. 공정하지 않다는 걸 인정했다면
성과를 제대로 인정해주는 조직이었다면, 열심히 했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조직에서 저는 바보처럼 살았습니다.
골프 치고, 인터넷 서치하던 그 친구처럼 살아야 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참으로 멍청했던 거 같습니다.
3. 숲을 보지 못한 나의 잘못
회사에 매몰되면 내 업무만 보이고,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만 보입니다.
가끔은 회사 밖 모임도 나가고,
다른 회사는 어떤지,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사는지 보며 살아야 합니다.
그래야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가 보이고,
보여야 내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저는 그걸 하지 못했습니다.
결국…
내가 성과를 내도 사장이 돈을 버는 것이고,
못 내도 사장이 조금 덜 벌 뿐입니다.
나에게 오는 건 늘 정해진 급여테이블의 월급뿐입니다.
몸과 시간을 회사에 갈아 넣어도,
비위를 맞춰도,
평균 퇴직 나이는 결국 49세.
고지식하게, 우직하게, ‘열심히’만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가끔은 멈추고 전체 숲을 보길 바랍니다.
저처럼 후회하지 마시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