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고 후회하지 말자 _ '대리 과장때 고민했었으면,,,'


'월급이 작더라도 혼자 나와서 할 수 있는 일을 해야지' 

미용실을 운영하셨던 장모님이 와이프한테 종종 했던 이야기입니다.  

직장이던 사회던, 어떤 틀 안에서 열심히 하는 건 자신 있어도,
돈을 투자해 내 사업을 한다는 건,,,,제 깜냥이 안된다는 생각이었습니다.

'혼자 나와서 할 수 있는 일'은 제 삶에 없는 옵션이었습니다. 



틀 안에서 열심히 하는 것, 직장!!

'정년까지 근무하고, 퇴직 후 삶은 그 때 고민하지 뭐,,,'  

차장 진급이 누락되면서,,, '그러지 않을 수 있겠구나!!' 를 처음 생각했습니다. 

* 일을 열심히 한다고 반드시 성과가 따라오는 것도 아니고, 

* 성과를 내도, 윗 사람이 방향을 잘 설정했기에,,, 그렇게 윗 사람의 성과로 비추어질 수 있고, 

* 내가 속한 사업부 혹은 팀이 전체적으로 저조한 실적이면, 그 사업부 소속은 진급이 어렵고, 

* 피라미드 구조로 과장이 모두 차장이 되는 게 아니기에, 이 때부터는 운도, 윗 사람과의 관계도 중요하고 

* 회사가 어려워 구조조정에 들어가면 내가 잘릴 수 도 있고, 남는다 해도 해당 연도에는 진급 자체가 없을 수 있습니다. 



걱정과 회피,,, 

40 즈음, 예민해 지는 자신을 발견합니다. 

'정년까지 근무하고, 퇴직 후 삶은 그 때 고민하지' 

'정년까지 근무한다?' 이게  얼마나 힘든지 느끼게 됩니다.   

지금 다니는 회사에서 나이때 별로 몇 분이 계시는지? 

* 50세 몇 명 그 분들의 직급  

* 55세 몇 명 그 분들의 직급 

* 60세에 퇴직하신 분, 그 분들의 직급 


그분들이 실력이던, 아부던, 지박령이던, 모르쇠 건 회사에서 어떻게 생활하는지? 


그 소수에 들어가기 위해 그분들 만큼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걸 알게 됩니다. 


가장 큰 문제는 앞으로 다가올 현실을 걱정 하지만, 

현업이 바쁘다 보면 걱정만 하다 잊어 버리고,,, 

잠깐 또 걱정하다,, 뒤로 미루고, 

그렇게 자신에게 다가올 현실을 회피합니다. 

  


내 삶에 없는 옵션 

사업은 제 깜냥이 안된다는 생각으로 직장에서 정년 퇴직을 생각했지만, 정년 퇴직 또한 아무나 하는 게 아니라는 걸 알게 됩니다. 

한국 남성 평균 퇴직 나이 49.3세 그냥 나온 통계가 아닙니다. 

45살  

끊임없는 갈등 속에 장모님의 말씀이 깊게 다가옵니다. 

'월급이 작더라도 혼자 나와서 할 수 있는 일을 해야지' 


'자기 사업은 옵션이 아니었음을,,, 대리 과장때부터 알았더라면,,,'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지나고 후회하지 말자 _ 회사 초기 멤버에 대한 착각

지나고 후회하지 말자 _ 이런 회사면 떠날 준비를 미리 하자!!

마라톤 첫 풀코스 자신감 충만한 분들은 꼭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