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고 후회하지 말자 _ 정년까지 근무할 수 있다는 착각

 


I. 사라지는 내 삶의 주도권 

30대까지는

직장 생활이 힘들거나 자기 생각과 틀리면 '그냥 다른 곳 갈까?' 

선택지가 있고, 삶의 주도권을 잃지 않고 유지할 수 있습니다.  


40에 접어들면,

지금 직장에 머물던, 마지막으로 한번 이직 하던, 결정을 해야 합니다. 그 어떤 결정도 '그냥 다른 곳 갈까?' 선택지는 없습니다. 이젠 진급과 회사에서 나의 위치에 민감해 집니다. 

윗 사람과의 관계, 그 사람의 나에 대한 평가가 신경 쓰일 수 밖에 없습니다. 


45세가 되면, 

본인도 이직 할 수 없다는 걸 알지만, 윗사람도 '네가 그 나이에 어디 다른 데 갈 때 있어?' 

좋으신 분도 있겠지만, 그 상황을 아주 잘 이용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시도 때도 없이 울리는 전화, 부당한, 말도 안되는 지시에도 "네 알겠습니다"  

회사를 떠난 자리에서도 "갑" "을" 관계는 계속됩니다.  

"서로 존중하는 동료!!" 한번 따졌다가는,,, 이후 공식적 회의를 통해 일 적인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내 삶의 주도권은 사라지고, 죽을 거 같아 '선택지'가 없음에도 직장을 그만두게 됩니다. 

"한국 남성 평균 퇴직 나이 49.3세"라는 통계는 남이 아닌 나의 현실이 됩니다. 


II. 우물 안의 개구리

1. 벗어나기 힘든 한계 

사회생활 첫 단추가 직장이고, 생계 유지 수단이었기에, '직장을 떠난 나' 를 심각하게 고민해 본 적이 없습니다.  

힘들 때 '시골에서 농사나 지면 어떨까?' '치킨집 해 볼까?'는 생각도 해 보지만, '돈도 없고, 당장 수입이 없으면,,,'

'개인 사업 하는 사람 대부분 망한다는 이야기만 있고,,,' 

직장을 떠난 나는 그렇게 푸념으로만 끝나고, 언제나 그렇듯 직장에 출근합니다. 


2. 정년까지 근무하는 건 내 선택?? 

30대까지는 

'일 잘하고 실력 있으면 당연히 진급하고 정년까지 근무할 수 있지'

40 초반에는 

'어? 후배가 먼저 진급하면 그 친구한테 결제를 받아야 하나? 직장 생활 쉽지 않네. 뭐 어쩔 수 없지, 진급이라는 게 실력도 운도 따라야 하니,,,'  

40 중반에는 

'아,,,, 갈 곳 없다고, 이렇게까지 사람을 무시하나? 완전 벨도 없는 놈 취급하는군'  

40 중반 '갈 곳 없다고 무시당하는 나' 는 생각보다 참을 수 없는 모욕감을 인내해야 합니다. 

모욕감을 참다 보면, 그 스트레스로 서서히 몸이 망가지기 시작합니다. 

자존감도 떨어지고 몸도 망가지면서 '더 이상 여기 있다가는 죽을 거 같다' 


그 때서야  '정년까지 근무할 수 있다'는 생각이 착각이었음을 알게 됩니다.  


III. 어차피 직장에서 나와야 한다면, 

직장에 오래 머무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많은 분들이 50전에 퇴직하기에, 저처럼 그 나이가 돼서, 힘든 현실을 마주하지 않으셨으면 하는 바램에 "사장학 개론"에 나온 문구를 옮겨봅니다. 

୮실패하면 모든 것을 잃을 수 있고 심지어 가족과 헤어질 수도 있다. 그럼에도 사장을 하는 이유는 내 삶의 주도권을 내가 갖고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୮이 도전에서 성공하면,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는 자유와 하고 싶지 않을 것을 하지 않을 자유를 얻는다

୮자산에서 얻은 자유가, 내 인생을 나에게 선물해 주며 내가 사랑하는 사람을 끝까지 보호해 줄 있고 내 스스로 독립된 인격체를 유지 하도록 돕는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지나고 후회하지 말자 _ 회사 초기 멤버에 대한 착각

지나고 후회하지 말자 _ 이런 회사면 떠날 준비를 미리 하자!!

마라톤 첫 풀코스 자신감 충만한 분들은 꼭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