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라톤 자원봉사 준비물과 자봉 지점

이미지
춘천 마라톤 이후, 서울마라톤까지 두 번 자원봉사로 마라톤 대회를 다녀왔습니다.  마라톤 자원봉사 준비물과 가장 적정한 자봉 지점에 대해 말씀 드릴게요.  I. 준비 사항   1. 대회 전 파월젤 급수대에서 이것저것 먹을 게 있진 하지만, 달리다 보면 바나나 1/4조각도, 초코파이도 먹을 정신이 없습니다.   달리시는 분이 미리 준비하는 게 맞지만 그래도 챙겨가서 달리기 전 전달 드리는 센스!! 쥐약(크림픽스) 일본 제품이 그나마 먹기에 괜찮다고 하네요.  한번 쥐가 나기 시작하면, 계속 나기에 이 또한 힘들기 전에 먹으라고 챙겨주면 좋겠죠.  크루와 어플 이건 무조건 필수입니다. 출발부터 매 5km마다 동료가 몇 시 몇 분에 그 지점을 통과했는지 App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달릴 때, 짐 맡기는 곳에 핸드폰을 놓고 가시는 분이 많기에, 아무리 기다려도 오지 않을 때 어떻게 연락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리고, '이때쯤 오겠거니' 해도,, 그 날 컨디션에 따라 시간이 지연될 수 있어, 이후에는 한시도 눈을 때지 못하고 달려오는 모든 주자들을 눈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그래도 놓치기가 일수죠.  우비 비가 오지 않더라도 추운 날씨에 오래 서 있거나 바람까지 불면,, 무지 춥더군요.    비싼 거 말고, 한번 입고 버릴 수 있는 우비를 준비하면 기다릴 때 요긴하게 쓰입니다.  달릴 수 있는 복장 자봉은 가끔 남은 거리 페이스 메이커를 하기도 합니다.  혹시, 마지막 구간 너무 힘들어 페이스 메이커를 요청할 경우, 같이 뛸 수 있게, 달릴 수 있는 복장으로 가시는 게 좋습니다.  2. 대회 출발 전  1. 일찍 도착 후 화장실부터  자봉으로서 모든 분들이 잘 뛸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 게 목표인 이상 무조건 일찍 출발하고, 도착하자마자 옷 갈아 입기 전 화장실부터 데려가세요.  ...

AI 시대 생존전략

이미지
I. AI 시대 우리 직업  다소 극단적인 내용 같은데, AI로 유명한 강사 말을 그대로 옮기면,,  "CEO, 사장 빼고는 다 생존하지 못한다"  "AI는 미래가 아니고, 현재다"  "컴퓨터 프로그래머, 디자이너도, 소설가, 드라마 극작가, 창조적인 일 외에도, 단순한 일도, 몸 쓰는 일도 대체된다" "예전에는 주판, 지금은 Excel을 잘 다루는 사람이 인정받지만, 마이크로 소프트는 Excel에 인공 지능을 탑재했고, 직원한테 지시하던 걸, AI를 통하면, 더 빠르게 DATA를 얻을 수 있다.  "지금 직업의 90%는 AI로 대체되고, 10%만 직업을 갖고 성공한다" 그 10%는 인간다운 인간이고, 앞으로 인간다운 인간만 생존한다.    II. ' 너무 지나친 거 아냐?'  2000년대 초 자본이 dot.com 기업에 몰리고 버블이 꺼지면서 80% 폭락했지만, 결국 20년 후인 지금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이 삶에 기본이 되었다.   인공지능 또한 AI 업체인 엔비디아이로 자본이 몰렸고, 결국 AI는 삶의 기본이 될 거다.  디지털에서 AI 시대로 가고 있다.   1년 전부터 나온 기술은,  생성형 AI(Generative AI)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에 따라, 텍스트, 이미지, 기타 미디어를 생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춘 인공지능 분야.  멀티모달(Multi-modal)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 문장을 가지고, 그림, 동영상, 글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만드는 기술. 스스로 학습하면서, 진보 한다.   앞으로,  친구처럼 대화하는 AI. 즉 앞을 보지 못하는 분이 핸드폰을 들고 가면, AI를 통해 길 안내를 받는다.   MS가 집중하는 분야는 교육과 의료고, 현재 수준은, AI가 목소리 만 듣고도, 그 사람이 당뇨병인지 아닌지 맞출 확률이 86%다. ...

youtube short 썸네일 변경 방법

이미지
PC로 short를 올렸는데 아래처럼 모바일에서 변경 가능하다는 message가 나옵니다.    사진 3개만 따라하세요.  1번 사진  2번 사진  3 번 사진 끝!!

Ai 시대 우리 아이 교육

이미지
제3의 물결, 한번 쯤 들어 보았을 엘빈토플러가 한국을 방문하고 나서,,, 

인구감소시대 우리아이 교육

이미지
I. 인구 감소와 한국     1. 출산율 0.72 의미  현재 한국 출산율은 0.72라고 합니다.  한 세대를 30년으로 보고, 남자 100명, 여자 100명으로 부부 100쌍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부부 100쌍를 통해 태어나는 아기는 72명(100 x 0.72 = 72)  30년 후, 성인 72명은 부부 36쌍이 됩니다.  이들 부부를 통해 태어나는 아이들은 26명(36 x 0.72 = 26명)입니다.   30년 동안, 성인 남여 200명(부부 100쌍)은 26명이 됩니다. 인구 감소율은 87%입니다.    2. 고령화 사회가 우리 아이들한테 미치는 영향    노인 부양 비율(15~64세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65세 이상 인구비율)  지금 제가 부모니까, 약 5명이서 1명의 노인 연금을 부담하는 거고,  우리 얘들 세대는 2명이서 1명의 노인을,  손주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손주놈은 1명이서 노인 1명을 부양하게 됩니다.   3. 그럼 앞으로 한국 경제는      회사는 일할 사람이 부족해, 회사 경쟁력이 떨어지고, 과학도 충분한 인력이 없으니, 기술력도 다른 국가보다 떨어지게 됩니다.    인구감소는 소비자 감소를 의미하고, 내수시장은 위축.  기업은 내수시장 위축으로 힘들어 지고, 거기서 일하는 우리 얘들은 돈이 없으니, 또 다시 소비 감소로 악순환을 만들게 됩니다.  고령화는 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등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는데, 생산 가능 인구인 우리얘들은 불경기에, 그 세금을 부담하기 힘들어 집니다.  II. 우리 얘들한테 해 줄 수 있는 이야기       1. 취업 방향     뤼튼에 검색해 보니, 빅데이터 전문가, 핀테크 엔지니어, AI 및 머신 ...

안양 삼막사 철탑 달리기 코스

이미지
I. 안양 삼막사 철탑 코스 소개 중앙 공원에서 시작해서,     안양천을 따라 서울 방향으로 가다,  안양예술공원 방향으로 틀어, 경인교대에 도착합니다.  경인교대 정문을 지나, 계속 직진하면, 삼막사 주차장에 도착합니다.  이제 본격적인 언덕 코스가 시작됩니다.  주차장부터 삼막사 절까지 끝날 거 같은데 또 언덕이 보이고, 그렇게 몇 번 하다보면 삼막사 절에 도착합니다.   여기서 포기하고 싶지만, 절 왼쪽 방향으로 시멘트로 만들어진 임도가 이어집니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시멘트를 밟고 또 밟아도 철탑은 계속 멀게만 보이고,,,  밟기를 포기할 무렵 우리의 목적지에 도착합니다.   중앙공원에서 삼막사 철탑 왕복은 대략 27km, 3시간 코스입니다. 고도는 525meter.    현장의 생생함은 아래 비디오 참조하세요^^ II. "삼막사 철탑가면 풀코스 가능하지"   1. 철탑 전 바라산 _언덕코스 맛보기  회장님, 마초님과, 동호회 가입한지 두달만인가? 바라산을 가게 되었습니다.  백운호수를 지나 계속 경사로 이어지고, 이때만 하더라도 경사가 가파르지 않아 '할만하다.'   하지만,  산 입구 첫 구간에, 정상이 보이지 않는 가파른 오르막,  앞서가는 회장님 마초님 발을 보며, 뒤쳐지지 않으려 했지만,,,  "먼저 가세요.."    신호등 대기에도 멈추지 않고, 뛰는 동작을 했던 저였기에,,,  저와의 약속을 지키지 못한,,, 찜찜함에도 어떻게 할 수가 없더군요. 뛰는 동작이 되지 않았고, 숨은 고통스럽고, 두통도 느껴지고,, ,   언덕까지 올라가면, 쉬었다 가려 했는데,,  야속하게,, 위에서 기다리고 계시니까,,, 올라가자마자 다시 뛰었습니다.   그렇게 힘든 바라산이 저의 첫 ...

마라톤 무릎부상(장경인대건염) 5개월 증상과 운동량

이미지
마라톤 finish line에 있다 보면, 눈에 보이는 그 곳을 한번에 가지 못하고, 잠깐 쉬어가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처럼 사후 대처를 미련하게 하다 5개월이 지난 지금도 제대로 달리지 못하는 상황이 아니었으면 하네요.  작년 9월 첫 풀코스, 장경인대건염이라는 부상을 당했고,  마라톤 선배님들께서 "무조건 2~3개월은 쉬어라"    의사 선생님도, 한의사 선생님도 "뛰면 안되요!!"  '그래도 괜찮겠지, 괜찮아 지겠지!!' 가볍게 생각하고 뛰었는데,, 이렇게 오래 고생할 줄은 생각도 못했네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장경인대건염 외 마라톤 부상이면,  당분간 필라테스가 되었던, 헬스가 되었던 다른 운동으로 대체하고, 절대!! 뛰지 마세요. 괜찮아 질 때 뛰어 또 통증을 만들고, 그렇게 뛰다 다시 다치는 걸 반복하다 보니, 어느덧 5개월이 지났습니다.   부상이 없어진 것도 아니고, 달리기 실력이 유지된 것도 아니고(숨도 차고,, 페이스도 많이 떨어지고)  몸도, 달리기도, 시간은 시간대로,,,  부상이면, 완치 될 때까지 꼭!! 참으셨으면 합니다.         I. 마라톤 당일 증상 하프 이후, 5분 초반 페이스가 후반대로 밀리기 시작했습니다. 28km 지점에서 오른쪽 무릎이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32km부터 오른쪽 무릎 통증이 심해져, 걷뛰를 반복했습니다.   34km 지점에서 수거 차량에 탈까 심각하게 고민하다,  '첫 풀코스를 포기하면,, 다시 도전할 수 있을까?' 두려운 마음에, 아픈 오른발은 최대한 굽히지 않고, 절룩거리며 들어온 시간이 4시간 47분  끝난 후,  걷는 건 괜찮았는데,  4시간 차 타고 집에 도착해 내리려 하니, 무릎 통증이 심해 걷는 것도 부자연스러웠습니다.   II. 다치고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