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지나고 후회하지 말자 _ 이런 회사면 떠날 준비를 미리 하자!!

이미지
20년 직장 생활 후 '당시에 왜 그렇게 하지 않았을까?' 후회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냥 열심히 하면 잘 되겠지'  그렇게 열심히 했더니,,, 어느덧 능력 없는 사람이 되어 있었습니다.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윗 분들 급여가 낮다면 미리 떠날 준비를 해야 합니다.  I. 윗 분들 급여가 낮다는 의미 1. 평균 이하가 되는 월급       신입 사원 급여는 높게 책정되어 있지만,   직급 높은 사람들의 급여가 크지 않다면, 5년, 혹은 10년 후 그 급여를 내가 받게 됩니다.  신입때 상위 그룹에 속했던 급여가 나이 들수록 평균 혹은 평균 이하가 됩니다.    2. 떨어지는 자존감       일이 힘들 때도 있고, 사람 때문에 고민한 적도 있겠지만, 그 순간들이 길지 않았기  '직장 생활이 그렇지 뭐'  하지만, 급여는 계속 신경 쓰입니다.   평균 이상이었던 급여가, 40 넘어 평균 이하에 머문다는 게, 자존심이 많이 상합니다.  스트레스 받을 때마다  '이 월급 받고 이 정도까지 해야 돼!!'  떨어진 자존감은 나한테 너그럽지 못하고, 그 야박함은 고스란히 가족에게도 전달됩니다.  3. 낮아진 스펙        이직 때, 급여는 나의 스펙입니다.  맡은 분야에 경험 많고, 큰 성과를 이루었다 해도,  이직 시, 지금 받는 급여가 임금 협상시 기준이 됩니다.   낮아진 급여는 내 스펙을 내리는 가장 큰 요인이기도 합니다.     4. 남은 자들        능력 있고, 눈치까지 있는 사람. 즉 일 잘하는 사람은 대부분 떠나고, 그저 그런 분들과 같이 일을 하게 됩니다. ...

지나고 후회하지 말자 _ 회사 초기 멤버에 대한 착각

이미지
I. 어려운 시기를 지나   매출 1억도 안되던 회사에 거의 초기 멤버로 입사했습니다.  회사가 성장하면 자연스럽게 간부도 되고, 급여도 따라올 거란 생각을 했습니다.  2년 후 매출 40억을 하게 되었습니다. 1년에 200일 넘는 해외 출장과 한국에 있을 때는 거의 야근을 했고,  그렇게 2년 지나니, 출장만 갔다 오면, 몸살 기운으로 닝겔을 맞고, 피부는 박스에 살짝 스치기만해도 붉게 올라왔습니다.  II. 성장 후 현실   1. 외부 인원  부사장님 이라는 분도 오시게 되고,  생산이사님 이라는 분도 오시게 되고,  개발 소장님도 오시게 되고,  또 그 분들이 아는 지인 분들이 오시게 되고, "초기 멤버라 회사가 성장하면 자연스럽게 간부가 된다"  저만의 착각이었습니다.   2. 급여도 따라올 거란 생각  이게 따라오지 않더군요.  * 인원이 많이 늘어 고정 비용이 높다.  * 생산 공장 임대료며,,,  * 대출을 많이 받아 대출 이자며,,, IV. 별거 없는 초기 멤버    1. 그냥 직원   초기 8명 일 때는 사장님도, 위에 계신 분들도 격의 없이 이런저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사장님도 어떻게든 직원들을 위해 최선을 다 했고, 직원들 또한 같은 마음이었습니다.  하지만, 윗 분들이 계속 들어오면서, 사장님과 일개 과장이 같이 식사할 일이 없더군요.  그렇게 인원이 늘면서, 초기 멤버가 아닌 그냥 직원이 되었습니다.  2. 급여 테이블    매출이 한참 성장할 초기, 아직 신규 인원이 많지 않을 때였습니다.  임금 협상으로 사장님과 면담할 때였는데,,, 제가 미쳤죠... 지금 생각하면,  "회사도 어려운데, 회사 사정이 좋아지면 그 때 올려 주세요"   이후 신규 인원이...

지나고 후회하지 말자 _ 눈치 보며 억지로 했던 야근

공단을 지나면서  '이렇게 회사가 많은데,,,취직만 하면 좋겠다. 내 인생은 왜 이렇게 꼬인 거지?'   절실한 마음으로 들어간 회사라서, 인정 받기 위해 무던히 애를 썻던거 같습니다.  지금은, 20년 직장 생활을 마무리 했습니다.  떠나보니, 후회되는 것들이 있네요.  I. 정시 퇴근 불이익  1. 영업팀   팀장이 누구냐?에 따라 분위기가 약간씩 틀립니다. 한때 제가 있던 팀에서는 8시 넘어,  "수고하셨습니다. 먼저 가볼게요" "어 그래, 수고 많았어"  아주 밝은 목소리로 눈을 마주치며,    6시 퇴근하기에는 눈치가 보이고, 30분쯤 지나,  "수고하셨습니다. 먼저 가볼게요"  "어 그래" 낮은 톤으로 눈도 마주치지 않고,,,,  이렇게 일찍 나오는 날은 퇴근하면서도, 찜찜합니다.  다음날 회의 때, 말도 안되는 질문과 공세가 이어지면서 별 필요도 없는 자료를 기한 내에 보고하라고 mission이 떨어집니다.  2. 연구소   같은 직장 연구소 팀은, 한때 늦게 출근해 자정이 다 되어 가는 소장님이 계셨다고 했는데,, 팀원이  9시 넘어 퇴근하면,, "제는 요즘 일 안 하냐?"   11시 퇴근해야 그런 소리가 나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윗 사람한테 찍히면,  차후 진급 심사 때 우선 순위에서 제외됩니다.  II. 야근으로 잃어 버리는 것     1. 퇴근 후의 삶      하루 2~3시간 * 가족과 시간을 보낼 수도 있고,  * 헬스던, 러닝이던 내 몸에 투자할 수도 있고,  * 가까운 지인들을 만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도 있고,  * 자기 개발을 통해 더 좋은 직장 옵션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2. 정신 건강    ...

지나고 후회하지 말자 _ 퇴사 전 챙겨야 할 서류와 퇴사 후 준비할 사항

지나서 후회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퇴사 할 때 아무 준비 없이 '회사에서 알아서 해 주겠거니??' 11년 다닌 회사에서 20여개의 미사용 연차가 있었고,  인사총무팀에서 '이건 계획서를 받았으니, 못 쓴 건 본인 책임이고, 연차 수당은 없다.' 그런 줄 알았는데,, 다니고 있는 직원들 모두, 3년간 쓰지 못한 연차 수당을 받았고,  퇴사자 들 중, 근거 자료가 있는 분들도 돈으로 받았다고 하네요.  퇴사를 준비하고 있다면, 저처럼 지나서 후회하지 말고, 제대로 알아보고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I. 퇴사 의사를 말하는 순간 변하는 것들  1. 언젠가 그만 둘 놈  홧김에, 욱해서 그만두겠다고 하고, 회유에 설득 당해 회사를 그냥 다니기에는 Risk가 있습니다.  퇴사 의사를 밝히는 순간, 팀장은  '언젠가 그만 둘 놈' 이라는 생각으로, 나에게 '귀찮지만 어쩔 수 없이 해야만 하는 일'  누구나 할 수 있는 일 위주로 배정합니다.    언젠가 내가 그만 두더라도, 큰 충격이 없도록,,,  2. 회유하는 진짜 이유   대리 때 힘들게 뽑은 후배가 1년 후 그만 둔다고 했을 때,   '신입사원 관리하나 제대로 못하는 선임, 내 평가가 나빠지는 건 아닌가?'  10년 후 팀장 때, 아끼던 후배가 개인 사업으로 그만둔다고 했을 때도,  '이 친구 공백을 어떻게 커버 하지?' '나가면 고생한다. 취직이 쉬울 거 같으냐? 네가 이 월급 받고 다른데 갈 수 있을 거 같으냐?'  '섣불리 결정하지 말고, 한 6개월만, 아니 1년만 더 해 보고 결정해라, 너를 위해서 하는 말이야' 그렇지 않은 분들도 있겠지만, 다들 본인 살자고 하는 이야기고,  '나가면 잘될지 안될지'  본인도 모르면서 그냥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할 뿐입니다. 3. 입장 정리  회유가 통하지 않으면, 팀장...

50대 취업 현실

이미지
  I. 만 나이 49세 이력서를 올려보면 _50대 취업 현실   40대 초반, 이력서를 Jobkorea, saramin에 올려보면, 종종 헤드헌터한테 연락이 오곤 했습니다.   최근 다시 올려보니 연락도 없거니와, 간혹 오는 제안을 수락해도 추가 연락이 오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해 왔던 일로 이직이 쉽지 않은 거 같습니다.  *가장 잘하고, 앞으로도 잘할 수 있고, *경력 인정받으면서, 비슷한 연봉을 유지하고,   *해왔던 일이기에 덜 스트레스 받고,  40대 초반과 50대 초입, 달라진 건 딱 하나, 나이!!  받아들여야 할 현실은 "지금 해 왔던 일로 취업하기가 거의 불가능"이라는 현실입니다.  예전 같이 직장에서 근무했던 지인들도 비슷한 상황이고,   얼마 전 운 좋게 취업한 분도 월급을 많이 낮추어 갔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II. 중장년 취업 센터장이 말하는 현실 _50대 취업 현실  1. 평균 퇴직 나이  [직장인 대부분 정년까지 일하고 퇴직하시는 분은 많지 않고,  한국 평균 49세에 이전에 해 왔던 주 일자리를 잃게 됨]   일에서 완전히 손을 떼는 연령층은 만 73세.   연령별로 일을 하고 있는 비율은 * 60~64세에서는 65.3%가 일을 하고 있고,  * 65~69세 52.2%  * 70~74세 31.9% 비율로 일을 하고 있음   2. 중장년의 현실적 일자리 남자는   * 건설현장 기능직  * 장비 운전  * 차 운전  * 생산직 경비  여자는  * 단순 노무  * 청소  * 식당  * 단순 포장 업무 등의 생산직  65세가 넘었다면 남자든 여자든 단순 노무일이 대부분입니다.   취업이 가능한 ...

선유도 군산 가볼만 한 곳

이미지
  "군산은 2시간인데, 선유도 치니 근 3시간이네"  "그렇게 차이나? 아침 일찍 출발할걸, 선유도 말고 군산도 이것저것 볼게 많은데,,"  "우선 섬 끝까지 가서 차례대로 나오면서 보자, 그리고 군산 시내로 가는 걸로" 그렇게 안양에서 선유도 맨 끝 섬 "장자도 공영주차장" 까지 3시간을 달려 도착했습니다. 섬이 너무도 많아 어디를 가야 할지 모르겠더군요.  관광 안내소에 들어가서 담당하시는 분께 여쭈어 보았습니다.   "저기 보이는  대장봉을 가장 많이 가시고,  선유도 해수욕장,  참 무녀 2구 수제 햄버거집은 BTS가 다녀간 곳이라 사람들이 많이 가더라고요. 그리고 옥돌해변도 괜찮고,,, "     안내소에서 이야기 하는데로 가보기로 했습니다.  I. 대장봉  1. 대장봉 등반  선유도 검색하면 가장 많이 나오는 사진뷰.  전망대 사진은 너무 많고, 전망대에서 계단 쪽으로 내려오다 보면 아래 사진과 같이 자연스럽게 찍을 수 있는 바위가 있습니다.  2. 대장도 방향이 아닌 "어화대 할매바위" 방향으로 가세요 주차장에서 대장봉 쪽으로 걸어가다 보면 저 멀리 바위산이 보이고, 저 꼭대기가 "대장봉 " 입니다. 근처에 도착하면 안내판이 보이고, 당연히 대장봉 방향으로 향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올라가도 저 멀리서 봤던 바위 위에 있는 계단길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계속 산길만 나오고,,,,, '길을 잘 못 들었나??'    '올라가다 보면 계단길이 나오겠지' 계속 숲을 뚫고 한참을 올라가다 보니,  어느덧 대장봉 정상에 도착했습니다.   '어 반대로 올라왔나?'  하산할 때는 반대로 내려왔는데, 저 멀리서 보이던 계단길이더군요.  표지판에서 [대장봉] 방향이 아닌, [어화대, 할머니바위] 방향으로 가야 올라가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