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025의 게시물 표시

달리면 빨리 늙는다??

이미지
달리기 한다고 하면, 지인들이 이런이야기를 합니다.  "무릎 나가", "빨리 늙어" '달리면 빨리 늙을까?' , 러닝비하인드 유튜브 내용 정리해 봅니다. I. 유산소, 고강도 인터벌, 근력 운동, 노화를 억제하는 운동은? 1. 실험 조건과 결과 2019년에 진행된 실험으로 건강하지만 운동을 크게 하지 않는 124명의 참가자를 모집해 4개 그룹으로 나누었습니다. 아무 운동도 하지 않는 그룹 유산소 운동만 하는 그룹 고강도 운동만 하는 그룹 근력 운동만 하는 그룹 아무 운동을 하지 않는 그룹을 제외하고,  운동하는 3개 그룹은, 6개월 간 1주일에 3회, 45분씩 운동을 진행했습니다.  6개월 후 노화 억제에 직접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텔로머라제(Telomeerase)효소 활성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았던 그룹, 근력 운동 그룹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유산소 운동, 고강도 인터벌 그룹은 노화를 억제하는 효소 활성도가 의미 있게 올라갔습니다.  2. "달리면 늙는다"가 사실처럼 느껴지는 이유 실험 결과대로라면,  유산소 운동(달리기)은 노화 방지 효소 활성도를 높여 노화를 방지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달리면 늙는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몇 년 만에 보는 친구가 갑자기 늙어보일 때(얼굴 살도 없고, 까무잡잡하고 잔주름도 많고), "왜 이렇게 살이 빠졌어? " "요즘 달리기 하다보니,," "어쩐지,, 늙어 보이더라, 달리면 너처럼 빨리 늙어, 적당히 달려라!!" 마라톤을 취미로 하는 친구들을 보면, '달리면 늙는다' 는 말이, 사실처럼 느껴집니다. II. "달리면 늙는다"의 두 가지 오류 1. 달리기와 마라톤의 차이 "요즘 달리기 해" 지인들한테 이야기 하면, "달리기=마라톤" 이라는 암묵적 ...

달리기 심박수 낮추는 방법

이미지
  I. 마라톤 동호회 2개월 째   1. 그냥 뛰면 되겠지  기본 3km에서 5km를 한번도 쉬지 않고 달린 것. 이것도 저 한테는 대단했지만, 5km에 이어, 7km까지 달리게 되었을 때,  '뭐,, 한 달리기 하지 내가!!'    이런 생각을 갖게 되고,    7km를 간혹 뛰다, 간혹 10km를 달리고 나서, 어느덧 10km 달리기가 루틴이 되었을 때,  '이 정도면,,, 안양천에서 왠만한 클라스 아닌가?'  2. 마라톤 동호회 가입 2개월이 되면서   처음으로 빌드업 주 훈련을 했습니다.  안양 종합 운동장 마지막 5바퀴를 500 언더 페이스로 달렸던 거 같고,  앞서 가시는 회장님 발만 보고, 뛰는 내내 포기할까? 말까? 고민하면서 겨우 5바퀴를 끝냈습니다.   '잘 뛰는 줄 알았는데, 동호회 회원분들하고 비교하면,,, 내 수준은 아무것도 아니구나!' 훈련이란 걸 처음하고, 뛰는거에 대해 좀 진지해졌습니다.  동호회 들기 전까진, 10km 뛰는 거 자체가 목표였고, 10km 채우면 뿌듯함이 하늘을 찔렀는데, 이번에 겨우 빌드업주를 끝내니,   '10km 채우는 거 말고, 다음 토요일,,, 덜 힘들게 하려면 주중에 어떻게 뛰어야 할지??'  이런 고민이 생기다 보니, 제 달리기 수준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II. 너무 높은 심박수   1. 페이스는 당길 수 있는데,,,    10km 1시간 안에 들어오는 걸로 만족했었는데,   토요일 정모때 고생하니,  '평소에 좀 더 빨리 달려야 나중에 힘들지 않다' 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목표가 생기니, 10km 달리는 시간이 향상되었습니다. 토요일 이후 월요일은 52분에 들어왔고, 다음날 화요일에는 49분에 들어왔습니다. , 문제는 ...

초보 러너 100%가 하는 실수 4가지

이미지
혼자 달리다 말다 10여 년!! 겨우 10km를 잘 뛸 수준이었는데,,,  마라톤 동호회 가입 2년만에, 부상은 있었지만 100km를 완주했습니다.  지나서 생각하면, 고집 때문에 여러가지 실수를 했습니다.  선배님들이 이야기 할때는 귀에 들어오지 않던 이야기가, 직접 겪고 나서 수긍하게 되네요.   초보 러너 100%가 하는 실수  4가지  4가지 모두 알고 있지만 실천하기 어려운 것들 뿐입니다.  첫 번째, 떨쳐버릴 수 없는 유혹, "짧은 기간 내에 거리나 속도를 늘리려는 욕심" 두 번째, 오늘 시간이 없는데,, 바로 달리고 들어가야지! " 워밍업과 쿨다운 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한 나!!"  세 번째, 그냥 열심히 달리면 되지,,, 뭐가 더 필요해??  "훈련 목표 없이 그냥 내키는 데로 달리는 경향. 그냥 힘들게 달리면 실력이 늘겠지" 네 번째, 근력 보강 운동!!  " 한때는 헬스장에 다녔는데,,,   달리기 시작 후, 고통만 느끼는 헬스를 뭐 하러,,,"  하나씩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짧은 기간 내 거리나 속도 욕심  "달리기 시작한 지 3개월, 이제 10km를 달려도 될까요?"   "6개월 안에 하프코스 달리는 게 목표에요"  "마라톤 풀코스 완주는 1년 연습하면 되지 않을까요?" 달리기를 의욕적으로 꾸준히 하루하루 하시는 분들한테는  '이 정도 목표는 가능한거 아닌가?'   저도 부상 경험이 없을 때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속도를 갑작스럽게 늘려 부상당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빠르게 달리고 싶어도, 숨이 차 더 이상 속도를 유지할 수 없기에 속도는 자연스럽게 떨어집니다.  부상은 거의 대부분 거리를 한번에 많이 올렸을 때 겪게 됩니다.   목표 거리를 달성하지 못하는 건 포기하는 거 같고, 힘...